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 – 한국어발음교육론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음운 음운은 의미를 지닌 언어 요소들을 구별하는 기능이 있는 말소리의 단위이다. 음성은 사람의 입을 통해서 나오는 구체적인 말소리인 반면 음운은 의미의 변별 기능을 갖는 최소 단위이다. 음운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음소(音素)이고, 다른 하나는 운소(韻素)이다. 음소는 말의 의미를 구별해 주는 최소 단위로,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이 여기에 해당한다. … 더 읽기

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 – 한국어문법론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담화 (Discourse) 담화란 문장 단위를 넘어서 의미를 전달하는 언어의 실제 사용 단위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제 대화에서 “너 어제 뭐 했어?”라는 질문에 “아, 어젠 다른 날보다 좀 일찍 일어났어. 잠이 안 왔거든. 그래서 좀 일찍 일어나서 아침 운동을 좀 다녀왔지. 그리곤 뭐 특별히 한 건 없었어.”라고 대답했을 때 … 더 읽기

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 – 한국어문법교육론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오류의 화석화 (fossilization) 학습자가 외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오류가 지속적으로 고착되어 수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것을 오류의 화석화라고 한다. 외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오류는 나타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러한 오류는 숙달도가 올라가면서 수정되고 고쳐진다. 그러나 일부의 오류는 학습자의 언어 능력이 향상되어도 계속 남아 있으며, 교정해 주어도 잘 고쳐지지 않는다. 성인이 된 … 더 읽기

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 – 한국어 교재론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교육과정 교육과정은 학습자가 특정 기간 동안 무엇을 어떤 순서로 배울지 체계적으로 정리한 계획을 말한다. 학습 목표, 교육 내용, 교수 방법, 평가 방식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서 교육의 전체적인 틀을 제공한다. 교사는 교육과정을 따라서 수업을 진행하고, 학습자는 단계별로 실력을 쌓아갈 수 있다. 보통 초급부터 고급까지 단계별로 구성되어 있어서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 더 읽기

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 – 한국어교육과정론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요구 분석 요구 분석은 학습자가 실제로 필요로 하는 한국어 능력이 무엇인지 조사하고 파악하는 과정이다. 학습자의 학습 목적, 현재 실력, 앞으로 한국어를 어떤 상황에서 사용할 것인지 등을 자세히 알아본다. 이런 정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적절한 교육 내용을 선택할 수 있다. 요구 분석을 제대로 하면 학습자에게 꼭 필요한 내용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수업을 … 더 읽기

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한국어교육개론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재외 동포 재외 동포는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거나 한민족의 혈통을 이어받은 사람들 중에서 외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말한다. 이들은 태어날 때부터 외국에서 살았거나, 한국에서 태어나 나중에 다른 나라로 이주한 경우도 포함된다. 재외 동포들은 한국과 문화적, 역사적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지만 현재는 다른 나라의 문화 속에서 생활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이들이 한국어와 … 더 읽기

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 – 교안작성법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교안 교안(수업계획서, 학습지도안)은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가 수업을 하기 전에 미리 준비해 놓은 수업 설계서를 말한다. 쉽게 말해, “이 수업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지”를 정리해 놓은 수업 계획표라고 할 수 있다. 교안에는 보통 수업 목표와 내용, 수업 단계, 교사 발화 및 설명, 연습 및 과제 등이 담긴다. 교안은 수업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 더 읽기

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한국문화교육론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상호문화주의서로 다른 문화들 사이의 역동적이고 쌍방향적인 상호 작용을 중시하는 이념 또는 철학을 의미한다. 유럽 연합의 중요한 문화적 어젠다 가운데 하나로 서로 다른 문화들의 복수적 공존을 주장하는 다문화주의와는 구별된다. 문화 섬(culture island) 수업과 관련된 주제에 따라 사진, 포스터 등 여러 재료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관심을 유도하도록 교실 안과 밖에 만들어 둔 공간을 … 더 읽기

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 – 한국문학개론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율격 운(rhyme)은 같은 소리가 되풀이되는 것이고, 율(meter)은 짜임새가 비슷한 말의 토막(foot)이 이어지는 것이다. 둘 가운데 율은 필수이고, 운은 선택이다. 한국 시가는 운은 선택하지 않고, 율만 갖추고 있다. 이 율을 보통 율격이라고 한다. 한 한은 가장 한국적인 슬픔의 정서로 몹시 원망스럽고 억울하거나 안타깝고 슬퍼 응어리진 마음을 말한다. 한은 욕구나 의지의 좌절되었을 … 더 읽기

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 – 읽기교육론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상호의존가설(Interdependence Hypothesis) 상호의존가설은 학습자가 두 언어를 배울 때, 한 언어에서 익힌 읽기 능력이 다른 언어의 읽기 능력 발달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이론이다. 이 가설은 캐나다의 언어학자 짐 커민스(Jim Cummins)가 제안한 것으로, 예를 들어 모국어에서 읽기 능력이 높은 학생은 외국어나 제2언어를 배울 때도 읽기 실력이 더 잘 발달할 수 있다고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