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 – 한국역사의이해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고조선한국사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국가로, 처음 역사서에 등장할 때는 ‘조선’이라고 하였다. 고조선이란 명칭이 널리 쓰인 것은 20세기 들어와서였다. 이씨조선과 구분되는 고대의 조선이란 의미이다. 백제 백제는 삼국의 하나로, 한반도 중서부에 위치했으며 660년에 멸망한 고대국가이다. BC 18년에 부여족 계통인 온조 집단에 의해 현재의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건국되었다. 건국 후 고구려, 신라와 동맹과 공방을 … 더 읽기

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 – 한국어학개론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언어의 분절성(discreteness) 물의 소리와 달리 인간의 소리 연속체 중 언어는 더 작은 단위로 자를 수 있다. 이를 분절성이라고 한다. 고양이나 강아지가 밥을 달라고 우는 소리는 더 작은 단위로 나눌 수 없으나, 인간의 언어인 ‘밥 줘’라는 소리는 ‘밥/ 줘’로 나눌 수 있고, 이는 더 작은 단위인 ‘밥+주+어’로 나눌 수 있고, 다시 … 더 읽기

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 – 한국어평가론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언어 숙달도 언어 숙달도는 학습자가 특정 언어를 얼마나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전체적인 실력 수준이다. 문법, 어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모든 언어 영역을 종합해서 판단하는 능력이다. 보통 초급, 중급, 고급과 같은 단계로 나누어서 표현하며, 실제 상황에서 언어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중점을 둔다. 언어 숙달도가 높을수록 … 더 읽기

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 – 한국어의미론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의미론 의미론(semantics)은 사람이 사용하는 말이 무슨 뜻을 가지는지를 연구하는 분야다. 예를 들어 ‘눈’이라는 단어가 하늘에서 내리는 눈일 수도 있고, 사람의 눈일 수도 있는데, 의미론은 이런 뜻의 차이를 밝혀낸다. 말은 단어 하나하나뿐 아니라, 문장 전체에서도 다른 의미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형태소, 단어, 구, 절, 문장의 의미 모두를 살핀다. 또한 “사과와 … 더 읽기

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 – 한국어음운론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모어 모어란 사람이 태어나고 자라면서 처음으로 자연스럽게 익히는 언어를 말한다. 흔히 모국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태어나 가족이나 사회 속에서 한국어를 들으며 자란 사람은 한국어가 모어가 된다. 반대로 미국에서 자라 영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한 사람에게는 영어가 모어다. 변이음 변이음은 말소리를 이루는 음소가 실제로 발음될 때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소리를 뜻한다. … 더 읽기

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 – 한국어어휘형태론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형태소(morphem) 형태소는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라고 할 수 있다. 단어를 더 이상 나눌 수 없으면서도 의미나 기능을 지닌 조각이다. ‘봄’, ‘하늘’처럼 하나의 형태소로 된 단어도 있지만, ‘첫사랑’은 ‘첫’과 ‘사랑’이라는 두 개의 형태소로 이루어진다. 이때 ‘의미’는 사전적인 뜻뿐 아니라 ‘-을’, ‘-자’, ‘-는’처럼 문법적인 기능도포함한다. 형태소는 ‘어휘 형태소’와 ‘문법 형태소’로 … 더 읽기

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 – 한국어어휘교육론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어휘소 어휘소(lexeme)란 사전에서 한 단어로 이루어지는 기본 단위를 말한다. 예를 들어 ‘가다’, ‘갑니다’, ‘갔다’는 모두 형태는 다르지만 동일한 어휘소 ‘가다’에 속한다. 어휘소는 실제로 발화되는 구체적인 단어 형태와 구별되며, 사전에서는 일반적으로 어휘소 단위로 단어를 등재한다. 이는 다양한 문법적 변화를 포괄하면서도 핵심 의미를 유지하는 단위이기 때문에, 언어의 구조를 이해하고 기술할 때 매우 … 더 읽기

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 – 한국어어문규범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한글 맞춤법 한글 맞춤법은 한국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 따라야 하는 전체적인 규칙을 말한다. 예를 들어 ‘밥을 먹다’라는 문장은 [바블 먹따]로 발음되지만 ‘바블 먹따’라고 쓰는 것은 올바른 표기가 아니다. 실제로 글로 쓸 때는‘밥을 먹다’처럼 단어의 원래 형태를 유지하여 적는다. 이처럼 소리나는 대로만 쓰지 않고 어법에 맞게 쓰는 것이 한글 맞춤법의 기본 … 더 읽기

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 – 한국어사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통시적 연구 / 공시적 연구 통시적이라는 말은 시간을 따라 흐른다는 뜻으로 통시적 연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언어가 어떻게 변해 왔는지를 살펴보는 연구 방법이다. 예전에 쓰던 말이 지금은 다르게 바뀌거나 없어지기도 하고 새로 생기기도 한다. 이렇게 언어의 변화 과정과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 통시적 연구이다. 예를 들어, 과거부터 지금까지 한국어 문법이 어떻게 … 더 읽기

한국어 이론 용어 해설 – 한국어발음교육론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용어 해설집 음운 음운은 의미를 지닌 언어 요소들을 구별하는 기능이 있는 말소리의 단위이다. 음성은 사람의 입을 통해서 나오는 구체적인 말소리인 반면 음운은 의미의 변별 기능을 갖는 최소 단위이다. 음운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음소(音素)이고, 다른 하나는 운소(韻素)이다. 음소는 말의 의미를 구별해 주는 최소 단위로,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이 여기에 해당한다. … 더 읽기